개념 정리

자바 개념정리 (2)

fenec_fox 2024. 4. 22. 22:08

변수 (Variable) : 변하는 수
자료를 처리하기 위해 이름이 부여된 기억 공간

변수의 선언 형식
자료형 변수 이름, [변수 이름, ...];
ex) int a = 10;

변수의 종류

기본형 참조형
문자형 정수형 실수형 논리형 클래스 인터페이스 배열
char byte, short, int, long float, double boolean      

기본 자료형

자료형 키워드 설명 표현 범위 크기 기본 초기값
문자형 char 2바이트 유니코드를 처리 '\u0000' ~ '\uffff' 2바이트 '\u0000'
논리형 boolean 참과 거짓 값을 처리 true, false 1바이트 false
정수형 byte 1바이트 정수를 처리 -128 ~ 127 1바이트 0
정수형 short 2바이트 정수를 처리 -32768 ~ 32767 2바이트 0
정수형 int 4바이트 정수를 처리 - 2의 31승 ~ 2의 31승 -1 4바이트 0
정수형 long 8바이트 정수를 처리 - 2의 63승 ~ 2의 63승 -1 8바이트 0
실수형 float 4바이트 부동소수점을 처리 3.4E+/-38(7개의 자릿수) 4바이트 0.0f
실수형 double 8바이트 부동소수점을 처리 1.7E+/-308(15개의 자릿수) 8바이트 0.0

상수 : 이미 정해져 있는 값

종류 내용
정수 상수 10진수, 8진수, 16진수, long형으로 구분합니다.
실수 상수 소수점이 있는 부동 소수점을 표현합니다.
문자 상수 문자를 표현하는 상수로, 작은 따옴표를 사용합니다.
논리 상수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true와 false를 사용합니다.
문자열 상수 큰 따옴표를 사용해서 여려 개의 문자를 표현합니다.
널(Null) 상수 참조형에서 아무 것도 없다는 의미로 null을 사용합니다.

상수를 선언할 때는 final 키워드를 사용해서 선언합니다. ex) final 변수타입 변수이름 = 값 [final double PI = 3.14]

이스케이프 문자 종류

\t Tab키
\n Line Feed(줄 바꾸기)
\r Carriage Return(첫 칸으로 이동하기)
\b Backspace(바로 앞 글자 지우기)
\f Form Feed(페이지 넘기기)
\숫자 8진수로 표현
\u숫자 16진수로 표현
\\ 역슬래시 \ 표현
\ 연결자
\' 작은 따옴표 표현
\" 큰 따옴표 표현